1. 개요
밀그램의 복종 이론은 스탠리 밀그램 ('stanley Milgram )이 1961년 예일대학교에서 수행한 실험을 바탕으로 한 심리학 이론이다. 그는 사람들이 권위자의 명열에 얼마나 쉽게 복종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했다. 이 실험은 특히 제 차 세계대전 중 나치 전범들이 단순히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한 점에서 영감을 받아 진해되었다.
2. 실험 방법
밀그램은 신문 광고를 통해 실험 참가자를 모집했다. 참가자들은 "학습자(learner)'와 "교사(teacher)" 역할로 나뉘었으나, 사실 학습자는 실험에 협조하는 조력자였고, 교사 역할을 밭은 참가자만이 진짜 실험 대상이었다. 교사는 학습자 주어진 단어 쌍을 외우는 테스트를 진행하고, 오답을 낼 때마다 전기 중격을 가하는 것이 역할이었다.
전기 충격은 15V에서 시작하여 450V까지 증가하도록 설정되었고, 학습자가 오답을 낼 때마다 강도가 점점 올라갔다. 학습자는 실제로 충격을 받지 않았지만, 교사는 이를 알지 못했다. 학습자는 특정 전압에서 고통을 호소하거나 비명을 지르거나 심지어 반응하지 않는 등의 연기를 했고, 연구자는 실험 참가자인 교사가 전기 추격을 멈추려 하면 다음과 같은 지시를 내렸다.
ㄱ."계속 진행해 주세요."
ㄴ. "실험을 위해 반드시 계속해야 합니다."
ㄷ. "계속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ㄹ. "선생님께서는 계속하셔야 합니다."
3. 실험결과
예상과 달리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권위자의 명령에 따라 높은 강도의 전기 충격을 가했다.
- 참가자의 65%가 최대 전압(450V)까지 전기 충격을 가했다.
- 모든 참가자가 최소 300V까지 충격을 가했으며, 이 시점에서 일부는 실험을 중단했지만, 다수는 연구자의 지시에 따라 계속 진행했다.
- 참가자들은 고통스러워하거나 도덕적 갈등을 느꼈지만, 연구자의 권위 앞에서 복종하는 모습을 보였다.
4. 이론적 해석
밀그램은 사람들이 단순히 권위자의 명령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 "책임을 위임하는 상태(agentic state)"에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즉 자신이 행동의 주체가 아니라, 상위 권위자의 지시에 따른 도구로서 행동한다고 믿게 되면 도덕적 책임감이 약화된다는 것이다.
밀그램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핵심 요인들이 복종 수준을 증가시키는데 열향을 준다고 분석했다.
ㄱ. 권위의 정당성 - 연구자가 과학적 연구자로서 권위를 지녔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그의 명령을 신뢰했다.
ㄴ. 권위자의 가까운 거리 - 연구자가 가까운 곳에서 지시할수록 참가자들은 더 쉽게 복종했다.
ㄷ. 책임 전가 - 참가자들은 전기 충격을 가하는 행위를 자신의 책임이 아니라 연구자의 책임으로 돌렸다.
ㄹ. 점진적 증가 - 전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도덕성 저항이 무뎌졌다.
ㅁ. 사회적 규범 - 차다자들은 실험이 공식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정상적인 행동이라고 믿었다.
5. 밀그램의 실험의 사회적 함의
밀그램의 실험은 권위가 인간 행도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 나치 전범들의 행동 이해: 많은 독일 군인들과 관리들이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고 변명했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조직 내 복종의 문화: 군대, 회사, 종교 단체 등에서 비윤리적인 명령이 내려질 때, 개인이 이를 수행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6. 비판과 추가 연구
밀그램의 연구는 윤리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실험 참가자들이 극심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었으며, 시험이 끝난 후에도 죄책감과 불안을 느낀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오늘날 심리학 연구에서는 참가자의 정신적인 안정을 보호하는 윤리적 가이드라인이 강화되었다.
7. 결론
밀그램의 복종 이론은 인간이 권위자의 지시에 따라 도덕적 판단을 포기하고 비윤리적인 행동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역사적 사건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조직이나 정부의 권위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심리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극 반응 이론 (Stimulus-Response Theory, S-R 이론) 요약 손다이크와 스키너 (0) | 2025.04.03 |
---|---|
솔로몬 애쉬의 동조 이론 (Asch's Conformity Theory) 요약 (0) | 2025.03.20 |
로터의 사회적 학습 이론 Rotter's Social Learning Theory (0) | 2025.03.18 |
애들러의 개인심리학(Adler's Individual Psychology) 요약 (0) | 2025.03.17 |
애들러의 개인심리학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들여다 보기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