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이론

솔로몬 애쉬의 동조 이론 (Asch's Conformity Theory) 요약

libga25 2025. 3. 20. 13:14

1. 서론

솔로몬 애쉬(Solomon Asch)는 1951년부터 1956년까지 일련의 실험을 통해 인간이 집단 내에서 얼마나 쉽게 동조하느느지를 연구했다. 그이 연구는 사회 심리학에서 동조(conformity) 현사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이후의 동조 및 집단 압력에 대한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2. 동조 (conformity)의 개념

동조란 개인이 집단의 규범이나 기대에 맞추어 자신의 행동, 태도, 신념을 조정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적 조화를 유지하고, 집단의 일부로 인정받기 위한 심리적 기제의 일환으로 발생한다. 동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ㄱ. 정보적 동조 (informational Conformity): 타인의 의견이 더 정확하다고 믿어 자신의  판단을 조정하는 경우

ㄴ. 규범적 동조 (Normative Conformity): 집단의 압력을 피하거나, 집단 내에서 거부당하지 않기 위해 자신의 의견을 집단에 맞추는 경우

 

3. 애쉬의 동조 실험

해쉬는 동조 현상을 검증하기 위해 선 길이 비교 실험(line judgment task)을 설계했다. 실험 참가자는 7-9명으로 구서오딘 그룹에 속했고, 실험의 목적을 모르는 참가자(실제 피험자) 외에는 모두 실험자의 사전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협력자(confederate)였다. 

 

(1) 실험 절차

ㄱ. 참가자들은 한개의 기준선(line)과 세 개의 비교선이 있느느 카드를 보여주고, 가준선과 길이가 같은 비교선을 고르게 함

ㄴ. 정답이 명확한 문제였으며, 참가자는 순서대로 대답

ㄷ. 초반 몇 번의 라운드에서는 협력자들이 올바른 답을 말함

ㄹ. 이후 일부 라운드에서 협력자들의 의도적으로 틀린 답을 말하며 피험자의 반응을 관찰

 

(2) 실험 결과 

ㄱ. 대조군(개별적 문제를 푼 경우): 99%가 정답을 맞춤

ㄴ. 실험군(집단 속에서 문제를 푼 경우) 약 75%의 피험자 최소 한 번 이상 집단의 오답에 동조

ㄷ. 평균적으로 전체 응답 중 32%가 집단의 오답에 동조

 

이런한 결과는 참가자들이 명백한 정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단의 압력에 으 해 틀린 답을 선태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4. 동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애쉬의 연구 이후, 동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분석되었다.

ㄱ. 집단의 크기: 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조율이 증가하지만,3~4명 이상에서는 증가 폭이 둔화 됨

ㄴ. 일치성: 만약 집단 내에서 한 명이라도 정답을 말하면 동조율이 급격히 감소

ㄷ. 과업의 난이도: 과업이 어려울수록 정보적 동조가 증가

ㄹ. 문화적 차이 : 아시아에서는 개인주의적 문화 (예:서구)보다 동조율이 높게 나타남

ㅁ. 자신감: 개인의 자신감이 높을수록 동조 가능성이 낮아짐

 

5. 동조의 심리적 기제

ㄱ. 인지부조화 (cognitive Dissonance): 집단의 의견이 불일치 할때 발생하는 심리적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동조가 발생

ㄴ. 사회적 거부에 대한 두려움 ( Fear of Social Rejection): 규범적 동조의 주요 원인중 하나로, 집단 내에서 소외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심리적 동기

ㄷ. 사회적 비교 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 Festinger, 1954): 자신의 의견이 맞는지 확인하게 위해 타인의 의견을 참고하는 경향

 

6.애쉬 실험의 의의 및 비판

애쉬의 연구는 동조 현상이 매우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잇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그러나 몇 가지 비판좀ㄷㅎ 제기되었다.

 

ㄱ. 실험의 인위성: 실험 상황이 비현실적이며, 실제 사회적 맥락과 다를 수 있음

ㄴ. 시대적 한계: 1950년대 미국 시회는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했으므로, 현대 사회에서 동이란 결과가 나올지에 대한 의문

ㄷ. 개인차 고려 부족: 일부 참가자는 전혀 동조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개별적인 요일 분석이 부족

 

7. 결론 

애쉬의 동조 실험은 사회 심리학에서 가장 영향력 잇는 연구 중 하나로, 집단의 압력이 개인의 판단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후 연구들은 동조의 유형과 심리적 기제를 더욱 심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연구는 오늘날에도 정치, 교육, 조직 행동,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